배열은 정적 자료구조이며 미리 크기를 정해놓은 뒤 해당 크기만큼의 연속된 메모리 주소를 할당받기 때문에 인덱스를 가지고 있어서 임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접근 및 탐색에 용이합니다.
하지만 크기가 미리 정해져있어서 크기 수정이 불가능하여 해당 배열 크기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링크드리스트는 동적 자료구조이며 크기를 정할 필요가 없고 연속된 메모리 주소를 할당받지 않습니다.
대신 Node라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으며, 그 노드 안에 데이터와 다음 데이터를 가리키는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링크드 리스트의 장점은 크기의 제한이 없어서 데이터의 추가, 삭제가 자유롭다는 점이 있고 단점으로는 연속적인 메모리 주소를 할당받지 않기 때문에 임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데이터를 탐색할 때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면접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www.google.com을 접속할 때 일어나는 일에 대해 OSI 7계층과 연관지어 설명해보세요 (0) | 2024.08.19 |
---|---|
JPA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5가지)을 설명해주세요. (0) | 2024.08.19 |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를 사용하는 이유 및 장단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 | 2024.08.19 |
좋은 코드란 무엇인가? (0) | 2024.08.19 |
JPA 엔티티 간 연관관계 매핑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