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가장 밑에 있는 1계층이에요. 이 계층은 네트워크 케이블, 전파, 전선 같은 물리적인 연결을 다뤄요. 데이터를 0과 1로 이루어진 전기 신호로 바꿔서 보내고 받아요. 쉽게 말해,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이나 Wi-Fi 신호가 이 계층에 해당해요.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이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오류 없이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를 작은 덩어리로 나누고, 이 덩어리를 패킷이라고 불러요. 또, 데이터를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주소(MAC 주소)를 붙여요. 이 계층은 주로 스위치나 네트워크 카드 같은 장치가 담당해요.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여기서부터는 데이터가 어느 경로로 이동할지 결정해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IP 주소를 사용해요. 이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효율적으로 보내는 방법을 찾아줘요. 라우터가 이 일을 해요.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이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보낼 때 안전하게 도착하도록 확인해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하면 다시 보내는 일을 해요. 여기서 TCP와 UDP라는 두 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돼요. TCP는 신뢰성을 중요시하고, UDP는 빠른 전송을 중요시해요.
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이 계층은 통신을 시작하고 끝내는 역할을 해요. 컴퓨터끼리 대화가 잘 이어지도록 관리해줘요. 마치 전화할 때 상대방과 통화 연결을 유지하는 것처럼, 데이터를 주고받는 세션을 유지해요.
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여기서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바꿔줘요. 예를 들어, 컴퓨터가 이해하는 코드나 파일 형식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나 이미지로 변환해요.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압축하는 것도 이 계층이 해요.
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가장 위에 있는 계층이에요. 우리가 직접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이 계층에서 작동해요. 웹 브라우저, 이메일 프로그램, 메신저 같은 것들이 여기에 해당해요. 이 계층에서는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직접 볼 수 있게 해줘요.
'면접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5가지)을 설명해주세요. (0) | 2024.08.19 |
---|---|
배열과 링크드 리스트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0) | 2024.08.19 |
데이터베이스에서 인덱스를 사용하는 이유 및 장단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 | 2024.08.19 |
좋은 코드란 무엇인가? (0) | 2024.08.19 |
JPA 엔티티 간 연관관계 매핑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0) | 2024.08.12 |